본문 바로가기
유망 직업

도시농업을 관리하는 '도시농업관리사'

by 임무궁 2022. 12. 28.

힐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직접 옥상이나 베란다에서 채소를 재배해서 먹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재배키트도 생산되고 있습니다. 가뭄이나 태풍 등의 이상기후로 채소값이 폭증하거나 할 때면 '집에서 대파키우기', '홈가드닝' 등으로 검색하며 재배 방법을 검색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경험에 비추어 도시농업과 도시농업관리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도시농업관리사 01

 

도시농업이란

도시농업은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 수행되는 소규모의 농업 활동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다양한 생활공간에서 농작물, 수목, 화초 재배 및 곤충 사육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이지만 도시 환경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작은 농장, 정원, 텃밭 등의 소규모 생산 공간에서 수행됩니다. 도시농업은 일반적으로 생산 규모가 작고, 생산 재료가 제한적인 경우에 적합한 농업 활동입니다. 도시농업으로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은 일반적으로 채소, 과일, 식물 등이 있습니다. 

 

도시농업관리사의 주요 업무

도시농업관리사 02

도시농업관리사는 도시농업을 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수행하는 직업으로 도시농업과 관련한 교육 지도 및 기술 보급을 하는 사람을 말하며 주요업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도시농업을 위한 적절한 식생과 재배 기술을 선택하고 적용
– 도시농업을 위한 생산 재료를 관리하고 적절한 생산 재료를 선택
– 도시농업 생산 공간을 관리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
– 도시농업 작물 생산을 관리하고 생산 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
– 도시농업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과 상담

 

도시농업관리사의 종사 현황 및 관련 자격

도시농업관리사 03

– 전국 주말농장, 도시농업공원 등의 관리인력
– 어린이, 청소년 대상 「학교텃밭」 운영강사
– 전문인력 양성기관, 도시농업지원센터 등의 교수 요원
– 사회복지시설의 「텃밭관리 및 원예치료」 강사 등
– (관련 자격) 국가 자격으로 도시농업관리사, 시설원예, 원예, 유기농업, 종자, 화훼 장식, 식물보호, 조경 또는 자연생태복원 분야의 기능사 이상에 해당하는 자격이 있다

 

도시농업관리사의 향후 전망

도시농업관리사 04

도시농업관리사의 향후 전망은 도시농업이 지역마다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도시농업관리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도시농업관리사는 생산 규모가 작고 생산 수입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농업과 달리 상업적 성공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는 점을 유의하고 교육 및 운영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역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시농업관리사가 지속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9년도 기준, 참여자 수는 242만 명, 도시텃밭 면적은 1,323ha로’ 10년 대비 각 16.1배, 12.7배 증가, 매년 36%, 33% 수준 증가 추세입니다.
도시농업은 단순 취미·여가 차원에서 치유, 어린이 정서함양 등 전문성이 강조되면서 전문인력의 활동분야 및 수요도 증가될 전망입니다.


시작은 옥상, 베란다에서 미니 텃밭을 가꾸는 것으로 도시농부를 출발해 봐도 좋을 듯합니다.

댓글